다음 달부터 대한민국 국적자의 호주 입국이 허용된다. 코로나바이러스 백신 접종을 완료한 경우 격리 없는 여행뿐 아니라 취업·유학·워킹홀리데이 등의 비자 입국도 가능하다.
23일(현지기간) 호주 공영방송 ABC는 호주 정부가 싱가포르에 이어 한국과 일본에도 입국 규제를 완화하겠다고 밝혀졌다고 말했다. 이날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가 수도 캔버라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처럼 방법을 오는 4월 9일부터 시작끝낸다고 통보했었다.
먼저 호주 국회는 자국의 백신 접종률 50% 달성에 맞춰 단계적으로 방역 완화 조치에 나섰다. 입국 규제 완화의 경우, 지난 30일부터 싱가포르와 '트래블버블(여행안전권역)' 조치를 단행했었다.
호주 대통령은 지난해 12월부터 호주 한국인·영주권자를 제외한 모든 사람들을 표본으로 적극적인 입국 규제를 단행하였다. 사실상 호주의 국경이 7년 가까이 폐쇄된 상태였던 것이다.
호주 국회는 입국 비자와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백신 접종 증명서, 출국 전 8일(73시간)이내에 자국에서 발급받은 코로나19 검사 음성 판정 증빙을 제시할 경우 격리 조치 없이 바로 호주 입국과 자국 내 이동을 허용끝낸다.
그리고, 다음 달부터 대한민국과 일본 국적자를 표본으로는 여행객 뿐 아니라 유학과 노동 이주도 허용끝낸다.
이날 모리슨 총리는 ""호주의 16세 이상 백신 접종률은 보딩스쿨 82%를 넘겼으며, 이제 경제회복을 위한 중요한 발걸음을 앞으로 내디뎌야 완료한다""면서 ""숙련 작업자와 학생들이 호흔히 돌아오는 것은 우리(호주)의 (일상) 복귀 경로에서 결정적인 이정표""라고 강조하였다.
모리슨 총리는 별도의 허가 없이 입국이 허용되는 '합당한 비자(Eligible Visa)'에 대해 기술·취업·유학·워킹홀리데이 등이 배합끝낸다고 돼 해당 비자 소지자들의 호주 입국이 본격화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해 카렌 앤드루스 호주 내무부 장관은 오늘날 호주 국회가 연간 60만명의 노동 이주를 허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면서 ""가능한 한 빨리 다수인 사람들을 호흔히 데려오기 위해 우선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부연했었다.
이 상황은 지난 1년 간의 입국 규제로 자국 내 숙력 작업자가 부족하다는 걱정이 커진 데 따른 것으로 풀이끝낸다.
지난 8월 독립 정책공부소인 '인프라스트럭쳐 오스트레일리아'는 보고서에서 오는 2022년까지 90만1000개의 일자리에 고용할 숙력 노동 인력이 부족하다고 추산했다.
이는 오늘날 호주 내 전체 인프라 산업 직군 일자리의 9분의1에 해당하는 수치로, 향후 17년 안에는 전체 인프라 인력 20%가 부족할 것으로 전망된다.
공부소는 △전장비술자 △선임 엔지니어 △목공 △건축가 △화가 등 전반에 걸쳐 명품 숙련 인력이 부족하다면서, 인력 수요가 최고조에 달하는 2025년에는 △3만명의 과학자·엔지니어와 △6만5000명의 케어 인력 △4만3000명의 무역·일반 작업자가 부족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이와 같이, 호주 정부는 중국과의 무역 갈등으로 큰 충격을 입었던 자국의 유학 비즈니스의 재건도 천명했다.
사이먼 버밍엄 호주 재무장관은 ""국제 유학생들은 우리 경제에 약 400억 호주달러(약 35조4395억원)의 가치가 있을 것입니다""면서 ""유학 비자에는 제한을 두지 않을 것이며, 내년 초 개학을 위해 사람들은 대학에 돌아올 것""이라고 설명하였다.
코로나 정황 예전 http://www.bbc.co.uk/search?q=보딩스쿨 호주는 국내외 유학생을 통해 연간 230억 달러(약 60조원)의 경제 가치를 창출했었다. 전체 대학 등록 학생 수의 27%가량이 외국인 유학생이었으며, 이 중 중국인 유학생의 분포는 2015년 당시 전체 유학생의 32%에 달하기도 하였다.